예전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@Cacheable 적용에 애를 먹었던 적이 있습니다. 라이브러리 import를 잘못 설정했던 것인데
같은 어노테이션이라도 종류가 확연히 다르므로 이에 대한 인지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.
그 때 당시 javax.persistence를 import 했었습니다. 그러나 이 라이브러리는 관계형 디비에 사용되는 것이라 Redis같은 NoSQL에 사용하면 안됩니다.
비슷한 예로 엔티티에서 @Id 어노테이션 사용시에도 import를 하실때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따라 다르게 import 해야합니다.
javax.persistence.*: 관계형 DB에서 사용.
org.springframework.data.annotation.*: JPA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Nosql이나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됨.
'스프링 부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TO vs VO vs Entity 비교 (0) | 2022.04.04 |
---|---|
[스프링부트] MongoDB로 CRUD 실습해보기 (0) | 2022.03.02 |
스프링 시큐리티 인증 필터 처리 (0) | 2022.02.19 |
스프링부트 Application.properties에서 H2 설정 하는법 (0) | 2022.01.19 |
김영한 스프링의 핵심 원리 정리 (0) | 2022.01.19 |
댓글